728x90
반응형

팔정도는 한자로 "팔"과 "정도"로 구성된 단어입니다. "팔"은 숫자 8을 나타내는 한자이고, "정도"는 정도나 정량을 의미하는 한자입니다. 따라서 "팔정도"는 말 그대로 "여덟 정도"라는 뜻이며, 일반적으로는 "약간", "대략", "어느 정도" 등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팔정도의 인기"는 "약간의 인기"를 의미하며, "팔정도의 어려움"은 "대략적인 어려움"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옳은 이해(正見, Samma Ditthi): 세상의 진실을 올바로 이해하는 것. 현실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방법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가지는 것입니다.

옳은 생각(正思想, Samma Sankappa): 비운, 욕망, 분노와 같은 부정적인 생각을 버리고 선한 생각과 의식을 갖는 것입니다.

옳은 말(正語, Samma Vaca): 거짓말, 비방, 협박 등의 악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진실하고 도움이 되는 말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옳은 행동(正業, Samma Kammanta): 살인, 도둑질, 음란 등의 부정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 올바른 행동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옳은 생계(正命, Samma Ajiva): 도덕적인 방식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정당한 수단으로 생활하는 것입니다.

옳은 노력(正精進, Samma Vayama): 올바른 방향으로 노력하여 나쁜 습관을 고치고 선한 행동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옳은 정신(正念, Samma Sati):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고 인식하는 것으로, 명상과 주의 깊은 생각을 통해 정신을 통제하는 것입니다.

옳은 집중(正定, Samma Samadhi): 정신을 집중시켜 깨달음과 내적 평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팔정도는 불교의 중요한 교리 중 하나로, 개인의 스스로 극복과 깨달음을 얻기 위한 지침으로 사용됩니다.

불교의 팔정도(八正道)는 불교 신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로, 마음과 행동을 통해 진리를 깨우침으로써 스스로의 해탈과 평화를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춘 지침입니다. 아래에서는 팔정도의 각 부분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옳은 이해(正見, Right View): 옳은 이해는 인생의 본질과 세계의 본성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모든 존재는 무영(無常), 고통(苦), 무아(無我)라는 세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2. 옳은 생각(正思惟, Right Intention): 옳은 생각은 선한 의도와 태도를 갖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탐욕과 증오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버리고, 사랑과 관용심,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3. 옳은 말(正語, Right Speech): 옳은 말은 정직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비방, 욕설, 협박과 같은 부적절한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도움이 되는 말과 타인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말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4. 옳은 행위(正業, Right Action): 옳은 행위는 생명을 존중하고 해를 끼치지 않는 행동을 취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살인, 도둑질, 음란행위와 같은 부정적인 행위를 피하고, 동정심과 관용심을 갖고 모든 존재를 도울 수 있는 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옳은 산업(正命, Right Livelihood): 옳은 산업은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정당한 수단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사회적으로 해로운 직업이나 부정한 수단으로 돈을 벌어들이는 것을 피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이익을 주고 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불교의 팔정(八正道, Eightfold Path)는 불교에서 신앙의 길을 타고 나아가기 위한 실천적인 가르침입니다. 이 팔정은 스님 고타마 신드라 가우타마 사키아무니(Gautama Siddhartha Sakyamuni), 즉 부처님 자신에 의해 제시되었습니다. 팔정은 현실에서 고통과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안내해주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각각의 팔정은 다른 삶의 영역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며, 모든 팔정을 조화롭게 실천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1.올바른 이해-정견 (見): 올바른 이해는 인생과 존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가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연의 개념, 원인과 결과의 법칙, 무상의 존재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합니다. 올바른 이해는 우리가 현실을 이해하고 그에 대응하는 방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2.올바른 생각-정사유 (正思惟): 올바른 생각은 이해를 기반으로 한 바른 생각과 의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의 의도와 욕망이 부정적이거나 해로운 결과를 초래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것을 말합니다. 올바른 생각은 양심과 깨달음을 기반으로 하여 자비, 무정함, 고요함을 강조합니다.

3.올바른 언어-정 (正語): 올바른 언어는 거짓말, 비방, 과장 등의 말을 자제하고 참된 말과 상대방의 이익을 고려한 말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올바른 언어는 소통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인간관계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4.올바른 행위 -정(正業): 올바른 행위는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행동을 자제하고 선한 행동을 실천하는 것을 말합니다. 올바른 행위는 폭력, 도난, 부정직한 행위 등을 피하고 자비로운 행동과 선의의 행동을 추구합니다.

5.올바른 생업 -정(正命): 올바른 생업은 부정한 수단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정당한 직업을 선택하고 윤리적인 가치와 원칙을 존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는 살생의 원칙을 따르며, 다른 존재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예를 들어, 살인, 도박, 약물 거래 등 부정한 직업은 올바른 생업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6.올바른 노력 -정정(正精進): 올바른 노력은 부정적인 생각과 욕망을 극복하고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가 부정적인 감정과 욕망을 자각하고 조절하며, 그 대신에 선한 품성과 근면한 태도를 개발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올바른 노력은 지속적인 실천과 내면의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7.올바른 정신-정 (正念): 올바른 정신은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고 깊이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금의 경험에 정신적인 주의를 기울이고, 과거나 미래에 대한 걱정과 망상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올바른 정신은 명상과 주의력을 통해 내면의 조화와 깨달음을 개발하며, 현실을 깨달음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8.올바른 집중-정정 (正定): 바르게 집중한다는 말로서 마음을 한곳에 집중하는 것인데 삼매라는 방법을 통해 이곳에 들어갈 수 있다.
올바른 명상은 명상 실천을 통해 마음을 집중하고 조용하게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명상을 통해 내면의 조화와 깨달음을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올바른 명상은 마음의 산만한 생각과 감정을 조절하고,
근심과 걱정에서 벗어나 안정과 평온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불교에서는 팔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깨달음의 경지를 목표로 삼습니다. 이를 통해 개인은 고통과 욕망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고, 깨달음과 해탈을 향한 여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팔정은 삶의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원칙이며, 개인의 행동, 언어, 사고, 직업, 노력, 명상 등 다양한 면에서 실천될 수 있습니다.


불교 수행자들은 팔정을 실천하며 인생의 고통을 극복하고 내면의 해방과 깨달음을 얻기 위해 노력합니다. 팔정은 지속적인 실천과 연습을 요구하지만, 이를 통해 개인은 지혜와 자비의 길을 걷게 되며, 더 높은 수준의 인간성과 내면의 평화를 이룰 수 있게 됩니다.



.팔정은 불교의 근본 가르침 중 하나로, 이를 조화롭게 실천함으로써 고통과 욕망에서 벗어나는 길을 제시합니다. 팔정은 인간의 삶의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며, 불교 수행자들은 이를 실천하여 깨달음과 해탈을 추구합니다. 팔정은 인간의 존재에 대한 심오한 가르침이며, 실천을 통해 현실에서 참된 행복과 내면의 평화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728x90
반응형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 금강경  (0) 2023.11.19
108배 문구  (1) 2023.09.06
뇌파의 종류  (0) 2023.05.16
명상이 뇌에 미치는 영향  (0) 2023.05.13
챗GPT로 검색해본 요가수트라  (0) 2023.04.29
기도<마더테레사>  (0) 2021.12.07
문진희 박사님  (0) 2021.11.08
찬송가 428장-내 영혼에 햇빛 비치니  (0) 2021.10.21
728x90
반응형

Yoga Sutras는 2,000년 전에 현자 Patanjali가 쓴 요가 수련을 위한 안내서입니다. 이 책은 4개의 장으로 구성된 196개의 구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장인 Samadhi pada는 "지금과 규율"(Atha Yoga Anushasanam)을 읽는 Sutra 1.1로 시작합니다. 이 경전은 독자가 이제 요가 수련을 통해 영적 훈련과 몸, 마음, 영혼, 영혼의 결합을 향한 여정을 시작할 준비가 되었음을 암시합니다. 요가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인의식과 보편적인 의식이 분리되어 있다는 환상을 극복하는 것입니다.

Patanjali은 요가 수트라를 비롯한 요가학의 핵심 원리들을 제시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요가의 기초를 닦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요가뿐 아니라 인도 철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그의 지혜는 오늘날에도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요가 수트라를 통해 그는 인간이 성장하고 진화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철학적, 윤리적 가르침을 전해주었으며, 이를 통해 요가를 수행하면서 영적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습니다.

요가수트라Yoga Sutra는 네 가지 장(chapter)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 첫 번째 장은 Samadhi Pada로, 이는 일종의 시작점으로써 여러분을 명상을 통한 깨달음의 길로 안내합니다. 
이 장에서는 요가의 정의가 소개됩니다.

첫 번째 장인 Samadhi Pada는 요가를 정의하고 독자에게 연습을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 장의 첫 번째 수트라는 "atha yoga anushasanam"으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 이 장은 또한 chitta vritti라는 마음의 변동과 요가 수행을 통해 이를 통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또한 이 장에서는 yamas(도덕적 제한), niyamas(관찰), asana(자세), pranayama(호흡 제어), pratyahara(감각의 철수), dharana(집중), dhyana(명상), 그리고 samadhi(쾌락적 흡수)와 같은 ashtanga, 즉 여덟 가지 요가의 지침이 소개됩니다. 이 장에서는 또한 요가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장애물과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도 설명합니다.

1.야마 - 비폭력, 진실성, 비도둑질, 자제, 무탐욕을 포함하는 올바른 삶을 살기 위한 윤리적, 도덕적 지침입니다.
2.니야마(Niyama) - 건강하고 영적인 삶을 살기 위한 개인적 준수 또는 규칙으로, 청결, 만족, 규율, 자율 학습, 더 높은 힘에 대한 복종을 포함합니다.
3.아사나 - 이것은 신체 건강과 정신 건강을 개선하기 위한 신체 자세 또는 운동의 수련입니다.
4.프라나야마(Pranayama) -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개선하고 명상을 위해 마음을 준비하기 위해 호흡을 조절하는 수련입니다.
5.프라티야하라(Pratyahara) - 마음을 내면에 집중하기 위해 외부 세계에서 감각을 철회하는 수련입니다.
6.다라나(Dharana) - 집중을 계발하기 위해 하나의 대상이나 지점에 마음을 집중시키는 수련입니다.
7.Dhyana - 마음이 특정 대상이나 지점에 집중되는 명상 수행입니다.
8.사마디(Samadhi) - 수행자가 명상의 대상 또는 우주와 하나됨의 상태를 달성하는 요가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전반적으로 요가의 8가지 팔다리는 영적 발전과 자기 계발을 위한 포괄적인 지침을 제공합니다 .
그러나 이 8개의 팔다리는 선형 방식으로 수련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요가 수련에 대한 전체론적이고 통합된 접근 방식이라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 장인 Sadhana Pada에서는 실제적인 요가 연습과 생활 가이드라인이 제시됩니다.
이 장에서는 요가 수행 중 마주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한 조언도 언급됩니다.

요가 수행 중 마주할 수 있는 문제는 다양합니다. 가장 먼저 걱정되는 것은 부상입니다. 요가로 인한 흔한 부상으로는 어깨, 손목 및 하반신 등의 피로와 긴장에 의한 염좌 등이 있습니다. 부상을 방지하려면 적절한 자세와 정렬로 요가를 수행하고, 자신의 체에 귀 기울이며 한계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또 다른 문제는 요가 수행 시 변화에 대처하는 것입니다. 요가는 정적인 것이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할 수 있습니다. 때로는 좋아지기도 하고 때로는 나빠질 수도 있습니다. 자신에게 집중하고 변화를 받아들여 자신의 상태를 인정하며, 매트 위와 매트 밖에서 더욱 만족스러운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
마지막으로, 요가 수행 시 가장 흔한 문제는 어려운 자세에서의 어려움입니다. 요가 자세는 꽤 어려울 수 있으며, 자세를 올바르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근력, 유연성 및 균형감이 필요합니다. 자신에게 인내심을 가지고, 자세를 억지로 유지하지 않으며, 언제나 자신의 체에 귀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세 번째 장인 Vibhuti Pada에서는 요가 수행에 대한 열등감과 자신감을 얻는 방법이 제시됩니다.

이 장에서는 요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비로운 능력(Vibhuti)을 얻는 방법에 대해 다룹니다. 

요가 실천으로 신비한 능력인 siddhis를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이 요가 전통에서는 있습니다. 특히, 요가 수트라의 Vibhuti Pada는 이러한 특별한 능력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능력을 얻는 것이 요가의 목표가 아니라 연습의 부산물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이러한 siddhis는 공중부양, 첨성대, 누군가의 몸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능력 등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 이러한 주장을 스크루티니로 접근하고, 이러한 능력의 획득에만 초점을 두지 말고 요가가 제공하는 육체적, 정신적, 영적 이점을 위해 연습해야 합니다.
따라서 요가 수트라는 요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신비한 힘들을 언급하지만, 요가의 진정한 목적은 이러한 힘들을 얻는 것이 아니라 자아 깨달음과 해방을 실현하는 것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네 번째 장인 Kaivalya Pada에서는 요가를 통해 얻는 자유(kaivalya)의 개념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 장은 34개의 짧은 구절(sutra)로 구성되어 있으며, 요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최종적인 결과에 대해 다룹니다. 

Kaivalya Pada는 절대적인 자유 또는 자아 인식에 대한 장으로, 요가 수행을 통해 해방 또는 카이발리아를 이루는 것을 중점적으로 다룹니다. 이 장은 34개의 수트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행자가 순수한 의식 또는 진정한 자아를 경험하고 최종적으로 해방을 이루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렇게 구성된 Yoga Sutra의 네 가지 장들은, 요가 수행을 통해 심신의 조화와 깨달음을 얻기 위한 지침서로서 유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8배 문구  (1) 2023.09.06
팔정도  (1) 2023.08.25
뇌파의 종류  (0) 2023.05.16
명상이 뇌에 미치는 영향  (0) 2023.05.13
기도<마더테레사>  (0) 2021.12.07
문진희 박사님  (0) 2021.11.08
찬송가 428장-내 영혼에 햇빛 비치니  (0) 2021.10.21
복음성가-그날이 도적같이  (0) 2021.10.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