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 가입한 분들이라면 지금 바로 보험금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보험 가입한 분들이 찾아가셔야 하는 보험금이 12조 원이 넘는다고 하는데요.
문제는 이걸 빨리 찾아가지 않으면 소멸된다는 겁니다.
즉 내가 받아야 할 돈인데 찾지도 못하고 그냥 보험사한테로 넘어간다는 거죠.
왜 이렇게 많은 보험금이 숨겨져 있는 건지 어떻게 해야 내 보험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도에 보험 가입자들이 모르고 받지 못한 보험금이 무려 12조 원이 넘는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돈이 보험 가입자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보험회사에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겁니다.
그중 생명보험사에서 받지 못한 보험금은 11조 8226억 원으로
건수로는 무려 477만 건이나 된다고 하고요.
손해보험사에서 받지 못한 보험금은 5347억 원으로 무려 62만 건이나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돈이 보험사에 숨어 있다는 건데요.
생명보험사의 경우 중도 보험금이 8조 8915억 원으로 가장 많았는데요.
중도보험금이란?
보험계약 기간 중에 특정한 시기가 도래하거나 또는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그때 지급되는게 바로 중도 보험금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생활자금 건강진단자금 자녀 교육자금 축하금 이런 것들이 중도보험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런데 받아가지 않은 중도보험금이 무려 약 8조 9000억 원 정도 된다는거죠~!
엄청나게 큰 금액입니다.
생명보험사의 경우 삼성생명이 무려 2조 649억 원으로 미수령 보험금이 가장 많았고요.
흥국생명은 1조 8302억 원 1조 7137억 원
동양생명은 1조 6938억 원
신한라이프생명은 1조 2462억 원 순으로 미수령 보험금이 많았습니다.
손해보험사의 경우 삼성화재가 901억 원
DB손해보험은 806억 원
롯데손해보험은 664억 원
농협손해보험은 636억 원
KB손해보험은 615억 원 이었습니다.
어떻게 이렇게나 많은 보험금이 미수령으로 남아 있는건지 궁금하실텐데요?
생명손해보험협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일부 보험사들이 고객에게 미수령 보험금을 적극적으로 안내하지 않았거나
미수령 보험금이 있는 기존 고객이 신규 계약을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전혀 안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보험금 청구권과 보험료 또는 적립금의 반환 청구권은 3년 보험료 청구권은 2년인데
이 기간 동안 청구하지 않으면 미수령 보험금은 소멸되기 때문에
반드시 2~3년 안에 보험금을 지급 받으셔야 합니다.
참고로 이 홈페이지는 생명보험협회와 손해보험협회에서 운영하는 곳이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네이버에 내보험찾아줌을 검색합니다.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면 숨은 보험금 조회하기를 누릅니다.
https://cont.insure.or.kr/cont_web/intro.do
생명보험협회 내보험찾아줌
나의 숨은 보험금을 한번에 확인할 수 없을까? 내가 가입한 모든 보험계약과 숨은 보험금을 한번에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숨은 보험금조회하기 상속인 방문조회 신청결과를 확인하실 분은 여기
cont.insure.or.kr
그러면 본인 인증부터 하라고 나오는데
휴대폰인증을 사용해도 되고
공동인증서가 있으신 분들은 공동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하시면 됩니다
공동인증서 본인 확인 인증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영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집이 아니라 보험 가입 여부와 미청구 보험금을 조회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해당 내용 읽어보시고 동의함에 모두 체크하시고 확인을 누릅니다.
보험가입을 조회하는 중입니다.
보험가입내역 조회결과 제가 가입한 모든 보험이 검색됩니다.
만기가 되었던 실효가 되었던 가입한 이력이 모두 나타납니다.
사업을 하면서 가입한 서울보증보험증권도 모두 검색되어 나타납니다.
미청구보험금 조회결과 ~~
저는 아쉽지만 없네요 ㅠ
가입하신 보험이 한건이라도 있다면
혹시 내가 놓쳤을 수도 있는 중도보험금,휴먼보험금이 모두 나타납니다.
한 번 검색해보시고~
용돈 받으시길 바랍니다 ㅎ
참고로 해당 홈페이지를 사칭하거나 또한 보험금을 환급해 준다고 유인하면서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또 이걸 판매하는 곳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니
보험금을 찾으려면 개인정보를 입력하라는 내용의 광고창들을 보신다면
절대 입력하지 마시고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륙료가 뭔가요? (0) | 2023.10.15 |
---|---|
눈건강 지키는 방법 (1) | 2023.10.14 |
주민등록증 유효기간 (0) | 2023.10.12 |
세균과 건강에 해로운 박테리아의 핫스팟 (1) | 2023.10.11 |
영조물 배상보험 알아보기~ (0) | 2023.10.05 |
암환자가 먹으면 안되는 음식 10가지 (1) | 2023.10.03 |
물구나무서기의 효능(Tadasana) (1) | 2023.10.02 |
가을철 뱀에 물렸을때 응급처치법 (0) | 202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