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16765?rc=N&ntype=RANKING

 

학교생활기록부도 네이버앱·카톡서 발급받는다

'화재증명원·여권정보·소득확인증명서' 등 4종 신규 서비스 행정안전부는 정부24나 해당 기관에서만 발급받던 학교생활기록부(초·중·고), 화재증명원, 여권정보증명서, 소득확인증명서 등 4종

n.news.naver.com

 

정부24나 각 기관등에서 발급받던 학교생활기록부, 화재증명원,여권정보증명서,소득확인증명서 등을
네이버나 카카오톡 ,민간 모바일 앱에서도 신청, 발급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공공, 민간 모바일앱에서 발급 받을수 있는 모바일 전자증명서가 55종이나 된다고 합니다.

2019년 12월부터 시작되어 벌써 누적 이용건수가 2천만건을 넘어섰다고 하니
관공서를 방문하기전에 모바일 앱으로 발급이 가능한지 먼저 알아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728x90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약튜브 끝 색깔의 진실  (1) 2023.11.14
녹두의 효능  (1) 2023.11.13
연말정산 부양가족 공제  (0) 2023.11.11
연말정산 교육비 공제  (0) 2023.11.09
하이패스 미납요금 조회방법  (0) 2023.11.06
소방관의 기도  (0) 2023.11.05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방법  (1) 2023.11.03
내장지방 제거방법  (1) 2023.11.02
728x90
반응형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가 필요해서 네이버에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정부24에서 발급을 받으니 훨씬 편리한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서 발급을 받았습니다.
현재도 이용가능하구요~
본인이 접속하기 편한곳에서 발급받으면 될것 같습니다.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0333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 정부서비스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

네이버에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를 검색해서 나온 링크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바뀝니다.

신청인 정보를 입력하고 , 주민등록번호뒷자리는 표시로 처리했습니다.
미표시로 처리했다 반려나는건들이 있어서 나는 처음부터 표시로 선택합니다.
출력할 프린터가 있을 경우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끝~~


처리상태에 출력으로 바뀌어 있으면, 출력을 누르면 됩니다.
나는 출력을 한 상태여서 열람문서로 바뀌어 있습니다.

프린터만 있다면 정부24에서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발급이 아주 편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린트 사용이 어려우신 분들은 The건강보험 어플을 설치해서 팩스로 받을수 있고 보내야하는 기관으로 전자문서로 보내는것도 가능합니다.

공동인증서가 없어서 본인인증을 통해 건강보험인증서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플에서 민원여기요에 들어가면 자격득실확인서가 보입니다.
이걸 누르면 바로 자격득실확인서 발급으로 이동 됩니다.
아래에 팩스를 누르면 팩스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팩스번호를 확인차 2번 누르라고 하네요~~
확인을 누르면 입력한 팩스번호로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가 수신되어 있는걸 확인하실수 있을겁니다.

팩스~~!
문방구에서 보내시는건 아니시죠?
어플에서 모바일 팩스 설치하면 개인 번호가 주어집니다.
번호를 저장해놓고 신분증을 보내야던지,서류를 보내야 하는 일이 생기면
사진찍어서 갤러리에서 선택해서 모바일 팩스로 보내시면 됩니다.

내 모바일팩스 번호 하나쯤은 가지고 계시면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번호는 잊어버릴수 있으니 꼭 내모바일 팩스번호라고 저장해두셔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법인사업자 통신판매업을 폐업하게 되어 방법을 기록해두려고 작성해보았습니다.
사업자등록증을 폐업하면서 한가지 신고증은 같이 폐업을 신청할수있는데
신청서 작성등 절차가 있어서 급하게 처리해야하는 상황이어서 사업자등록증 폐업만 진행하고
통신판매업,영업신고증 등을 따로 접수하게되었습니다.

사업자등록증만 폐업하고, 영업신고증이나 통신판매폐업을 하지 않으면 
등록면허세가 매년 부과되는거 아시나요?

정부24를 검색하고 들어갑니다.
정부24에서 통신판매업을 검색하면 연관검색어가 폐업...등등 많이 나오는데 폐업을 누릅니다.

회원,비회원 신청이 있는데 편한방법으로 들어갑니다.
저는 일단 사업자등록증이 일단 폐업이 된 상태여서 비회원으로 들어갔습니다.(폐업전 회원가입 안된 상태)

비회원신청->법인사업자 를 클릭합니다.

 

법인정보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폐업을 클릭합니다.
신고번호를 입력하는 곳에는 통신판매업신고증 왼쪽 상단에 있는 제2020-서울.....호 까지 입력합니다.


 

대표자 정보를 입력합니다.
폐업일은 사업자등록증을 폐업한 날짜를 기입하는게 아닙니다.
현재 신청일보다 늦을 날짜를 기입하라고 합니다.

사업자등록증 폐업은 10일에 했어도
통신판매업신고증 폐업일은 열흘이 지난 오늘 이후 날짜를 입력해야 합니다.

해당사항없음으로 체크하면 우편으로 확인증과 같이 안보내도 되기에 편합니다.

민원신청을 누르면 됩니다.

비회원으로 로그인을 해서 
마지막으로 인증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공동인증서가 PC에 저장되어 있어서 공동.금융인증서를 선택했습니다.
인증서 암호를 누르고 확인을 누르면 됩니다.

 

서비스 신청이 되었습니다.
통신판매신고증 폐업이 신청되었습니다.
온라인으로 통신판매업신고증 폐업~
아주 간단하게 해결이 되었습니다.

신청내역 확인은
정부24 --> MyGOV --> 서비스신청내역을 찾아보시면 처리상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영업일기준 3일 이내에 처리된다고 합니다 ~
급하신건은 연락처로 전화를 하면 오후 퇴근이 다가오는 시간이 아니면 바로 처리해주시더라구요~~
보건소나 구청에 방문하지 않고 쉽게 처리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요즘은 삼성페이,애플페이을 대부분 사용하기 때문에 지갑을 안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것 같습니다.
지갑을 안가지고 다니기에 신분증을 소지하지 않고 다니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갑자기 필요할 때가 있기에 정부24와 연계된 앱을 통해
모바일 신분증을 저장해서 다닐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먼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정부24를 검색해서 어플을 설치합니다.
2.어플을 설치한 후에 간편인증,공동인증서,금융인증서 중 하나를 선택해서 로그인합니다.
3.저는 공동인증서를 클릭해서 로그인을 했습니다.



4. 로그인을 해서 정부24 어플을  첫화면을 아래로 스크롤해서 내리면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항목이 있습니다.
클릭을 합니다.

 

 

 

5. 본인명의 핸드폰만 등록가능하다고 합니다.
 본인명의인지 혹은 배우자 명의인지 잘 확인하시고 등록하셔야 합니다.

 


6. 모바일 확인서비스 약관에 전부 동의합니다.

 


7. 본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8. 본인인증이 마무리되면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에서 사용 할 비밀번호 6자리를 등록합니다.
생체인증을 추가등록하셔도 되고 , 안하셔도 됩니다.


9. 비밀번호 등록을 하면 서비스 등록에 성공했다는 문구가 뜹니다.


10. 그리고 드디어 모바일 주민등록증이 생성이 되었습니다.

급하게 신분증이 필요할때 이용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거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반응형

법인대표자변경 필요서류

 

 

오늘은 법인대표자 변경건이 있어서 강남세무서에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정부24 사이트에서 변경하려고 보니

법인 대표자변경은 세무서를 방문해야 된다고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서울은 확실히 건물들이 많아서인지 지방보다는 온도가 많이 높았습니다.
(주말에 지방에 다녀왔는데 넘 시원했거든요~~)
에어컨 빵빵하게 틀어놓은 사무실이 최고의 피서지입니다.
가까운 거리라 가을이면 걸을만한데 
넘 덥기에 후딱 택시타고 기본요금내고 다녀왔습니다.

예전에는 대기인원도 엄청 많아서 한시간은 족히 걸렸었는데
방문을 자제하는 분위기라 10명의 대기인원이 있었지만

아주 빨리 끝내고 왔습니다.(들어가서 필요서류 작성 끝나면 내 번호가 불리더라구요)

 

법인은 서류도 많이 필요하고 시간도 오래걸리기에 

전화해서 필요한 서류를 확인하고 다니는데
강남세무서 민원실(02-519-4221) 전화연결이 안되더라구요.
코로나 때문인지는 알수 없으나
요즘 관공서 전화 통화하기 너무 어렵습니다.

일단 기본적인 서류와 혹시나 필요할지 모르는 서류 모두를 챙겨서 다녀왔습니다.

법인 대표자 변경시 필요한 서류는(다른 기재사항은 모두 종전과 동일하고 대표자만 변경되었습니다)

법인등기부등본과 법인인감증명서, 법인 도장, 대리인 신분증이었습니다.

 

사업자등록증 변경 신청이 완료되었다면 통신판매업신고증이나 영업신고증도 변경하셔야 하는거 아시죠?

 

무더위와 코로나 잘 이기시고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정부24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 온라인발급받기

세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는 지방세 납부한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이다.

지방세는 지자체에서 주민에게 부과하는 세금이다.

지방교육세,취득세,자동차세,주민세,등록세,면허세 등이 있다.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을 발급 받기 위해서는 공인인증서가 필요하다.

주민센터에 가서 본인이 발급 받는 경우도 있고

본인이 가지 못하는 상황에는 
대리인이 본인 신분증과 대리인신분증을 가지고 가면 된다.

 

나는 성실신고자라 종합소득세 신고를 이제야 한다.

성실신고 종합소득세 신고는 6월말까지 신고하면 된다.
세무사 사무실에서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를 발급해달라고 해서

발급하면서 기록으로 남겨두려고 포스팅을 한다.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는 대출 받을 때도 은행에서 요청했던 것 같다.

 

요즘은 온라인으로 모든 것??? 이 가능하다.
단,인감증명서는 주민센타에 직접가서 지장을 찍어야 발급이 가능하다.

대리인은 온라인 상에 있는 위임장이 아닌 주민센타에서 공무원이 내어주는

위임장에 적어서 가야만 발급이 가능하다.
미리 알고 가셔서 헛걸음 하시지 않기를,,,
나는 그 위임장을 미리 몇장 받아 두긴 했다.

예전에 정부24가 아니라 민원24를 이용했던것 같은데

민원24가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정부24를 이용하게 되었다.

 

 

정부24 클릭하고 들어가기

 

https://www.gov.kr/portal/main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 클릭~~

 

민원 신청하기 누르기

 

 

회원,비회원 둘다 신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마지막에 공동인증서가 필요하기에

미리 공동인증서로 로그인을 하는 것도 좋을거 같다.

 

 

정부24는 대부분 사무실 PC에서 신청을 하기에
공동인증서가 PC에 있기도 하고
종종 필요한 서류가 있기에 회원가입을 미리 해둔 상태이다.

 

 

비회원 신청의 경우 정보수집에 동의합니다 에 체크를 해야한다.

 

 

 

비회원 신정 정보입력을 하고 확인을 누른다.

 

 

세목별과세증명(방문수령)도 있는걸 보니 
인터넷으로 신청해 놓고 방문해서 찾는 경우도 있나보다.
프린터나 복합기 등이 없으면 그럴수 도 있겠다.

 

인터넷으로 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에서 위.변조하는 행위는 10년이하의 징역을 받을 수 있다고 되어있다.

본인확인 인증이 되어야 신청 가능하고 발급도 가능하다.

신청인 정보를 입력했는데 세팅이 되지 않거나, 과세목록 창이 열리지 않으면 "팝업차단" 을 해제하라고 되어있다.

 

 

납세의무자의 주소는 신청시 입력한 주소와 다를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말이 어렵다.
내가 이해력이 딸리는 것 일수도...
한국말이 제일 어려운 듯~~

본인이 현재 지방세를 내고 있는 곳의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과세물건지 주소선택도 현재 내가 살고 있는(지방세를 내고 있는) 주소지를 기입했다.

 

 

지방세를 내고 있는 곳 주소를 입력하면 행정처리기관이 나온다.

 

행정처리기관을 클릭하면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하고 나오네요

비회원보다는 처음부터 회원 로그인을 추천 드렸습니다.
(회원가입을 해 놓으면 기본적인 소재지 사항 등이 자동으로 입력 된 창이 나오긴 한다)

 

공동인증서로 로그인을 하면 아래와 같이 과세내역 목록조회 화면이 나온다.

 

 

과세목록에 보면 2021년까지 나와 있어서
필요한 건 2020년 자료이기에

2020년만 체크를 하고 확인을 누른다.

대체로 등록세,면허세,자동차세 등이다.

프린터나 복합기랑 연결이 되어 있으면 출력을 해도 된다.
프린터랑 연결이 안되어 있으면 바탕화면에 파일로 다운 받을 수도 있다.

제출용이기에 이메일로 전송할거라 출력하지 않고 저장을 해두었다.

 

알면 편리한 세상
모르면 불편한 세상
별것 아니지만 컴퓨터와 친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뭐든 어렵고 무섭다(나만 그런가?)

 

날마다 좋은날 되세요!!!
오늘더 사랑해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